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어제 청주공항에서 대만으로 향하던 여객기가 긴급 회항했는데요. <br><br>새 때문이었습니다.<br> <br>“버드 스트라이크”라고 하죠. <br><br>엔진에 새가 빨려 들어가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거든요. <br> <br>그런데 오는 새를 쫓는 것 말고는 왕도가 없습니다. <br><br>사고라도 날까 숨가쁜 인천 공항직원들의 하루를 현장카메라가 담아왔습니다. <br> <br>강보인 기잡니다. <br><br>[기자]<br>하루에 천 3백여 대, 1분에 한 대씩 비행기가 이착륙하는 인천공항입니다. <br> <br>곳곳에는 이착륙 과정에서의 안전확보를 위해 분투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.<br>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 <br> <br>공항 인근 논에 철새 무리가 앉아 있습니다. <br> <br>녹색 레이저를 쏘자 날아가 버립니다. <br> <br>공포탄을 쏴 활주로 주변으로 새나 고라니 등의 접근을 막습니다. <br> <br>[김현철 / 인천국제공항 야생동물통제대원] <br>"항공기 안전 때문에. 소리로 분산되는 방향을 잡아줘서 그쪽으로 나갈 수 있도록 유도를 하는…" <br> <br>엽사와 사냥개들이 숨어 있는 야생동물을 쫓으려 풀숲을 헤치고 다닙니다. <br> <br>[정상종 / 야생동물관리협회 자원봉사자] <br>"동물들이 사람들이 가서 움직이면 잘 안 움직여요. 사냥개가 가서 비행기에 새들이나. 유해동물들이 접근할 수 없도록…" <br> <br>높은 산 중턱 등 접근이 어려운 곳은 첨단 장비를 사용합니다.<br><br>지향성 조류 음파 퇴치기입니다. <br> <br>새들이 싫어하는 소리를 쏴서 원하는 방향으로 몰아냅니다<br> <br>[권혁락 / 인천국제공항 야생동물통제대장] <br>"조류나 야생동물들의 밀집도는 상당히 높아졌어요. 공항 주변으로 해서 한 11만 마리 정도의 지금 조류가 확인되고…" <br> <br>일명 버드스트라이크 같은 야생동물과 항공기 충돌 사고를 막기 위해 인천공항에만 38명의 대원들이 24시간 숨 가쁘게 움직입니다. <br> <br>계류장과 활주로, 주변 상공에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수많은 항공기 통제는 관제탑 몫입니다. <br> <br>높이 100.4 미터, 22층 높이의 인천공항 관제탑입니다. <br> <br>이곳을 중심으로 반경 9km, 상공 900m 안에 있는 모든 항공기와 하늘길을 통제하는 역할을 맡습니다.<br> <br>사고 위험이 가장 높은 항공기 이착륙 순간, 관제사들 사이에는 극도의 긴장감이 감돕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Continue approach runway 33 Left, wind 320 degrees 14knots" <br>"활주로 33L으로 계속 접근하세요. 바람은 320도 방향에 14노트입니다." <br> <br>2001년 개항 이후 관제 무사고라는 대기록은 관제사들의 이런 긴장과 집중력을 통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강희진 / 서울지방항공청 관제사] <br>"실수를 한 번 하게 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고. 또 항공기 사고는 인명피해가 크게 날 수 있는 사고이다 보니까…관제사를 포함해서 많은 항공 종사자들이 여러분의 안전한 비행을 위해서 노력을 하고 있으니까. 안심하시고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" <br> <br>하루 20여만 명이 오가는 인천국제공항, 안전을 위해 작은 새 한 마리, 찰나의 순간도 빈틈없이 24시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강보인입니다. <br> <br>PD: 김남준 장동하<br /><br /><br />강보인 기자 riverview@ichannela.com